세금사례를 연구합니다.
(양도소득세, 일괄양도) ‘기준시가의 ±30%’를 벗어나면 예외 없이 무조건 과세됩니다.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세금사례 연구가 이호성 세무사입니다.
오늘은 토지와 건물을 함께 양도한 경우의 양도소득세 사례 1건을 살펴보려 해요.
두 달 전인 올해 3월에 조세심판원 결정이 있었어요.

A씨와 B씨는 토지와 그 위의 단층 건물(각 50%씩 소유)을 매매대금 총 ○○원에 매도하는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2018년에 소유권을 매수인에게 넘겨준 다음, 2019년에 양도소득세를 각각 신고 · 납부했습니다. 매매계약서에 토지와 건물의 가격이 별도로 기재되어 있어요.
위 건물은 미등기 가건물로, 두 사람의 주장에 따르면 임차인이 편의점 등(낚시레저)으로 운영하기 위해 신축한 것(본래 임차인 소유의 건물)이라고 해요. 그러다가 위 부동산 매도계약이 체결되기 약 1주일 전인 2018년에 임차인으로부터 건물만 매수하여 두 사람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습니다.

세무신고 후 약 4년이 지난 2023년에 과세관청이 위 토지와 건물의 각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총 매매대금을 분모로 안분계산해 보니, 두 사람의 신고서에 기재된 금액이 「소득세법」 규정이 정한 ±30%의 범위 밖에 있는 것을 확인했어요.
그래서 과세관청은 기준시가대로 세금을 다시 계산하고 두 사람 앞으로 각각 가산세를 더한 양도소득세 납세고지서를 보냈고, 두 사람은 이에 불복하여 이의신청 후 심판청구를 제기했습니다.

그러자 과세관청은 “두 사람은 건물철거 예정이고 조세회피목적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위 「소득세법」 규정은 단순한 추정규정이 아니라 간주규정 형태를 취하면서 예외를 허용하는 단서를 규정하지 않는다.” 라고 하면서
“매매계약서상 구분된 가액이 기준시가에 따라 구분한 가액과 30% 이상 차이가 난다면 그 매매계약서상 구분가액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도 있으니, 과세처분은 적법하다.” 라고 주장했어요.
과세관청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다수 건의 양도세 사례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오늘 사건의 결과는 어땠을까요?

① 두 사람은 당초부터 토지만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토지에 대한 기존 임대차 관계가 종료된 이후 매수인이 그 임차인을 상대로 토지에 대한 온전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원상회복청구권 등) 부득이 건물까지 매수하여 곧바로 토지 및 건물을 양도하게 된 것으로,
② 거래당사자들 사이에서는 토지 자체를 거래하는 것이 주된 거래목적이었고, 그 중 건물 부분에 대한 거래는 토지거래가액을 평당 ○○원 수준으로 정하고 건물 거래가액은 두 사람이 양도직전 토지 임차인으로부터 매수한 가격 그대로 정하는 등 사실상 토지의 이용가치를 보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음

③ 두 사람은 부득이 건물을 매수하여 토지와 함께 양도하게 된 것에 불과할 뿐 달리 조세회피 의도가 확인되지 않고, 건물을 제3자(임차인)에게서 ○○원에 매수한 후 곧바로 같은 가격으로 매도한 것을 임의로 가액을 정한 것으로도 보기 어려운 사정 등에 비추어
④ 위 토지 및 건물의 양도를 「소득세법」에서 정한 토지 및 건물 등 가액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보기 보다는, 토지 및 건물의 각각 실지거래가액을 각각의 양도가액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됨

‘토지와 건물 등의 가액 구분이 불분명한 때’로 본 과세관청의 판단이 틀린 양도소득세 사례입니다. 2016년에 「소득세법」이 바뀐 후의 세금사례들의 대략적인 비중으로 보면, 대단히 예외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어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다수의 사례에서 기준시가나 감정가액을 기준으로 안분한 금액 대비 ±30%의 범위를 벗어났다는 이유로 과세한 처분이 적법하다고 인정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과세관청의 주장처럼 간주규정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죠.

위 2016년 개정세법 해설을 살펴보면, ‘가액 임의적 구분에 의한 조세회피 방지’를 목적으로 세법기준에 따라 계산한 값 대비 ±30% 이상 차이나게 납세자가 신고하면, 납세자의 신고 숫자 말고 세법기준에 따른 숫자로 양도차익을 계산해야만 하는 간주(의무)조항이라서 그렇습니다.
제가 본 오늘 사건의 결정적인 포인트는 임차인이 만들어 세운 건물을 토지와 함께 타인에게 양도하기 불과 1주일 전에 임차인으로부터 구입하여 그 가격 그대로 매도했다는 사실이예요.

이런 특별한 사정 즉, 결정내용 ①에 나온 ‘온전한 권리행사’를 위한 행동이라고 조세심판원이 인정해 주었기 때문에, 결정내용 ③에 나온 ‘조세회피 의도가 확인되지 않는다’ 라는 판단으로 이어졌고, 또 그것 때문에 매매계약서에 쓴 땅 값과 건물 값을 인정받았네요.
저런 특별한 사정의 소명 없이 단순하고 만연하게 “당사자들이 정한 가격대로 판단해야지, 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까? ” 라든지 “매수인과 ‘건물 값 0원’으로 합의했습니다 ” 라고 제아무리 주장해봤자 아마 인정받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2019년이후로는 부가가치세도 거의 비슷한 내용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정반대로, 과세관청 입장에서는 「소득세법」 제100조 제2항 및 제3항의 적용에 예외가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겠죠? 굳건한 간주규정을 뒤집고, 예외적으로 실지거래가액이 인정되는 경우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사례와 비슷한 세금사례들을 같이 보시죠.
(양도소득세, 일괄매매) ‘구분계약’한 금액을 증명했는데, 도대체 왜 인정되지 않나요? (feat.
안녕하세요, 세금사례 연구가 이호성 세무사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께서 관심갖고 계시는 토지 · 건물 일괄양도 관련 양도소득세 사례 1건을 보려 해요. 작년인 2020년 11월에 대법원의
taxmentor.tistory.com
(양도소득세) 일괄양도한 경우 양도가액 계산은? (feat. 토지·건물 일괄공급 관련 2019년부터 시행
안녕하세요, 세금사례 연구가 이호성 세무사입니다. 오늘은 양도가액과 관련된 양도소득세 사례 2건을 보려...
blog.naver.com
“ 설마 그것까지 세금 매기겠어?
네, 그것까지 세금 매깁니다. ”
이 글을 스크랩하실 경우에 ‘비공개’가 아닌 ‘공개 포스트’로 해 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세금사례 연구가 소개 및 세무상담 의뢰하기
세금사례 연구가 이호성 세무사에게 상담 의뢰 ※ 개인정보보호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는 세무상담 및 현금영수증 발급 목적으로만 활용되고, 제공일로부터 1년 후 폐기됩니다. docs.google.com 세금
taxmentor.tistory.com
문의가 있으시거나 세무상담이 필요하신 분은 바로 위 포스팅을 확인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이호성 세무사 직통전화
728x90
'행정심판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기본법, 기납부세액 및 가산세) 개인과 법인은 엄연히 달라서 안 됩니다. (0) | 2024.07.22 |
---|---|
(소득구분) 매달 받았고, ‘SAJANGNIM’으로 기록되었으니 ‘급여’가 맞습니다. (0) | 2024.07.01 |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근무상의 형편’을 인정받으려면? (0) | 2024.06.10 |
(국세기본법, 납세의무 승계) 상속세 신고한 내역에 맞추어 양도세 고지서를 보냈습니다. (0) | 2024.06.03 |
(양도소득세, 상속농지 8년 자경) ‘소유권이전등기접수일’을 취득시기로 볼게요. (0) | 2024.05.23 |
Comments